빨간색 버스에 가방을 메고 탑니다
dark mode light mode NEWSLETTER Menu

두려움을 감당하세요

계속 하세요.
평가에 대한 두려움을 감당하세요.
세상은 나에게 그리 많은 관심을 두지 않습니다.

무언가를 쓸 때 온당한 목표는 ‘거칠고 서툴고 부족한 초고‘를 쓰는 것입니다.
‘작품’을 ‘완성하겠다’라는 다짐 대신 시간을 정해두고 ’30분 쓰기’가 유용합니다.

글을 쓸 때 가지면 좋은 생각

  • 글쓰기가 아주 오랜만이거나 처음이라면 ’10분만 집중하자’는 편이 좋아요
  • 자료는 나중에 보충해도 충반하니 자유로운 생각의 흐름을 막지 마세요
  • 조각글을 묶어 긴 글의 뼈대를 세울 수 있으니 잘 쌓아두세요
  • 오늘도 “쓰레기를 한번 써 볼까나!”라는 마음으로 쓰세요
  • 긴장을 완화하기 위해 좋아하는 음악을 들으면서 쓰세요

큐레이터의 문장 🎒

‘글’을 잘 쓰고 싶은 욕심은 언제나 가득합니다. 글은 말보다 오래 머물러 시간이 지나도 힘을 발휘할 때가 많으니까요. 디자인을 할 때에도 ‘그림’ 보다 ‘글’이 명확해지는 순간이 점점 늘어납니다. 모두가 같은 해석을 하는 도구로써 ‘글’은 유용한 커뮤니케이션 수단이기 때문이죠.

글을 쓰고 산책을 나가기. 일을 하고 잠을 자고 다시 글을 쓰고. 특별한 게 아니라 그냥 하는 일, 별로여도 괜찮으니 내가 나를 검열하지 않고 그냥 써보는 것. 그것만으로 큰 위안이 됩니다. 무언가 잘 되지 않을 때 “뭐가 문제일까?” 이유를 생각하다 문득 ‘생각이 너무 많아’에 이릅니다. 가끔은 생각 하지 말고 그냥 하는 것, 그다지 이성적이고 합리적이지 않지만 계속 하는 것이 답에 이르는 방법일 때가 있습니다.

큐레이터가 인용하는 문장 🔏

“계속 쓰는 것밖에 답이 없다. 파편화된 단어를 긁어모아 삐뚤빼둘 연결해 뭐라도 계속 만드는 수밖에 없다. 튀어나온 단어를 쓱싹 사포질하고 부족한 사유를 덧칠해서 계속해서 내 문장을 써 내려가는 것밖에 답이 없다. 그렇게 계속 쓰면 적어도 쉽게 멈췄다는 후회의 덫에 빠지지는 않겠지. 적어도 계속 쓴다면 명품은 아니더라도 빈티지라도 되겠지. 세월의 더께만으로도 충분히 들여다볼 가치가 있는 무언가는 나오지 않겠나.”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