빨간색 버스에 가방을 메고 탑니다
dark mode light mode NEWSLETTER Menu

라라랜드와 변곡점

   살다 보면 모든 일에 변곡점이 찾아온다. 시대적 소명일 수도 있고 개인적 변화일 수도 있다. 변곡점의 세찬 파동이 인생을 드높게 쏘아올릴지, 바닥으로 처박을지는 알 수 없지만, 분명한 것은 인생이라는 함수의 변곡을 예감하고, 그 파고에 기꺼이 몸을 맡겨야 한다는 것이다. 수평 그래프로 사는 삶이 평온한 것 같지만 어쩌면 그런 삶은 삐 소리와 함께 벌써 생의 종지부를 찍은 상태인지도 모른다. 살아 있는 것은 고유의 파동이 있기 때문이다.

   인생의 변곡점을 생각하면 영화 <라라랜드>가 떠오른다. 특히 이별 이후, 재즈바에서 우연히 미아를 조우한 세바스찬의 상상 속에서 펼쳐지는 두 사람의 아름다운 파노라마는 압권이었다. 그 장면을 보며 세바스찬과 미아가 헤어지지 않았더라면, 하는 아쉬움을 느끼지 않은 사람은 없을 것이다. 그러나 생각해보면 그 장면은 그저 두 사람 사이의 엇갈린 운명을 아쉬워하는 관객을 달래주기 위한 별책부록 같은 장면이 아니었나 싶다. 별볼일없는 재즈피아니스트와 배우지망생이었던 두 사람이 LA의 정체된 고속도로에서 무감하게 욕만 해대고 스쳐갈 수 있었음에도 기어코 서로를 발견해낸 것, 각자의 존재 자체가 인생의 중요한 변곡점임을 알아보고 서로에게 치열하게 집중한 것, 고달픈 일상과 불투명한 미래를 잊어버리고 최선을 다해 사랑하고 서로를 고무시킨 것. 이 지점에서 두 사람은 이미 성공한 것이다. 그 이후 흘러간 둘의 삶은 부연설명이고 아름다운 후일담일 뿐이다.

박주영, ⟪어떤 양형 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