빨간색 버스에 가방을 메고 탑니다
dark mode light mode NEWSLETTER Menu

2020년 YouTube 사용패턴

사회적 거리 두기가 시작된 지난 1년 동안 YouTube 사용자들의 이용방식은 어떻게 달라졌을까요?
Google에서 발표한 내용을 7가지로 요약했습니다. 📺

  1. 집 안에 머무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전 세대에 걸쳐 YouTube 이용시간이 증가했어요.
  2. Z세대는 눈을 뜨자마자 YouTube를 이용하는 패턴이 나타나고 있어요. YouTube를 라디오처럼 틀어놓는 경우가 늘고 있죠.
  3. M, X, 58세대까지 모든 연령대에서 사용시간이 늘어났습니다. 검색할 땐 YouTube 명제가 세대불문으로 통하고 있죠.
  4. YouTube는 학습에도 도움이 된다는 평가를 얻고 있어요. 온라인 수업을 하면서 부족한 정보를 찾기 위해 YouTube를 활용하는 Z세대는 3명 중 1명 정도로 나타났죠.
  5. M세대 쇼핑 관련 정보를 찾아보는데 중점을 두고 ‘내돈내산’ 등 리뷰 콘텐츠를 살펴보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6. X세대는 육아, 집에서 해결해야 하는 보수, 설치 등 How to 콘텐츠를 찾아보는데 YouTube를 활용했죠.
  7. 58세대는 건강에 관심이 많아 의사가 운영하는 채널에서 운동 방법, 성인병 예방 및 관리 방법을 찾아보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큐레이터의 문장 🎒

YouTube를 사용하는 공통점은 ‘콘텐츠의 다양성’입니다. 새로운 관심사나 취미에 대한 콘텐츠를 찾아볼 때 가장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인데요. 세대를 불문하고 게임, 요리, 음악, 건강, 뉴스 등에 대한 콘텐츠를 가장 쉽게 찾아볼 수 있다는 점 때문에 앞으로 YouTube를 더 오래 사용하겠다는 응답이 나타났습니다.

다양한 콘텐츠는 구독자에게 대리만족을 줄 뿐만 아니라 정보 탐색의 비용을 줄여주고 있죠. 더 많은 방송사, 크리에이터들이 이 생태계를 강화할 겁니다. YouTube가 잘 되는 이유를 보면 왜 테크 기업이 뉴스레터 회사를 인수하고, 콘텐츠를 직접 만드는지 이해할 수 있어요. 생활의 일부가 된 콘텐츠(플랫폼)는 모든 기업이 갖고 싶은 고객 접점이니까요.

함께 보면 좋은 콘텐츠 📮

➊ 커리어리, 《테크 기업이 콘텐츠를 품는 이유

➋ RBBM, 《넷플릭스 오리지널 콘텐츠, 그 다음은?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