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군가가 히말라야의 팔천 미터급 고봉에 올라 죽음의 고비를 넘기고 안전하게 귀환하는 것을 반복하듯이, 나는 일면식도 없는 사람들로부터 거부당하지 않고 안전함을 느끼는 순간을 그리워하는데, 그 경험은 호텔이라는 장소로 표상되어 있다.
김영하, 『여행의 기술』
이 글을 쓰고 있노라니 프로그램의 근원도 이제는 알 것만 같다.
나의 유년은 잦은 이주로 점철되었다. 새로운 학교로 견학하여 처음 보는 아이들에게 받아들여지는 원경험들이 쌓여, 그것이 프로그램으로 내 안에 저장되었을 것이다.
어떤 인간은 스스로에게 고통을 부과한 뒤, 그 고통이 자신을 파괴하지 못한다는 것을 확인하고자 한다. 그때 경험하는 안도감이 너무나도 달콤하기 때문인데, 그 달콤함을 얻으려면 고통의 시험을 통과해야만 한다. ‘집 떠나면 고생’이라는 말을 나도 잘 알고 있다. 하지만 내 안의 프로그램은 어서 이 편안한 집을 떠나 그 고생을 다시 겪으라고 부추기는 것이다. 그래서 나는 그 어디로든 떠나게 되고, 그 여정에서 내가 최초로 맛보게 되는 달콤한 순간은 바로 예약된 호텔의 문을 들어설 때이다. 벨맨이 가방을 받아주고 리셉션의 직원은 내 이름을 알고 있다.
‘나는 다시 받아들여졌다. 그리고 이제 한동안은 안전하다.’
평생토록 나는 이 패턴을 반복하고 있다.
낯선 곳에 도착한다. 두렵다.
그런데 받아들여진다.
다행이다, 크게 안도한다.
그러나 곧 또다른 어딘가로 떠난다.